정종 이방과 그는 누구인가
정종은 조선 제2대 임금으로 이름은 이방과입니다. 이방과는 이성계의 둘째 아들입니다. 또한 태종 이방원의 형이기도 합니다. 정종 이방과의 재위 기간은 1398년부터 1400년까지로 길지 않았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정종 이방과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합니다. 그래서 오늘 그가 어떤 사람이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아버지를 닮은 아들
1392년 조선 건국 당시 태조 이성계의 나이는 58세였습니다. 이성계와 첫 번째 부인 한씨 사이에는 6명의 아들이 있었습니다. 첫째 아들의 이름은 이방우입니다. 그는 개경에서 이성계의 장남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그리고 정종 이방과는 둘째 아들로 당시 36살이었습니다. 그는 아버지처럼 무인적인 기질이 뛰어났습니다. 무력적으로 능력이 있어 아버지 이성계와 가장 많이 닮았습니다. 생김새는 곰처럼 생겼다고 합니다. 이성계가 조선 제1대 국왕 태조로 즉위하면서 정종 이방과는 아버지의 과업을 물려받습니다. 이성계가 활약했던 함경도에 과업을 모두 이방과가 물려받았습니다. 또한, 이성계의 개인 사병이었던 가별초도 정종 이방과가 지휘하게 됩니다. 이방과는 아버지를 따라 거의 대부분의 전쟁에 참여했습니다. 그 유명한 황산대첩에도 참전했습니다. 그는 동생 이방원과 함께 정몽주를 제거합니다. 정몽주를 없앤 후에 고려 마지막 왕 공양왕을 찾아갑니다. 공양왕에게 이방과는 정몽주 일파를 내쫓으라고 압박합니다. 만약 그들이 잘못한 게 없다면 우리에게 벌을 내리라고 말합니다. 이로 인해 공양왕이 왕의 자리에서 물러나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조선이 개국하는데 이방원만큼 정종 이방과도 많은 공을 세웁니다. 1392년 조선이 건국되고 1년 후 1393년 형 이방우가 서거합니다. 장자 계승 원칙에 따라 이방과가 세자가 되었어야 했습니다. 하지만 이성계는 신덕왕후의 막내아들 이방석을 세자로 책봉합니다.
1차 왕자의 난 발발
이성계가 장자 계승 원칙을 무시하고 막내아들 이방석을 세자로 임명합니다. 이에 이방원과 이성계의 첫 번째 부인 한씨의 자식들이 모두 분노합니다. 그리고 이방원을 중심으로 1398년 1차 왕자의 난이 발발합니다. 1차 왕자의 난으로 정도전과 이복동생 이방번, 이방석이 눈을 감습니다. 이때 정종 이방과는 아버지나 동생 둘 중 한쪽 편을 들지 않고 다른 집에 숨어있었습니다. 1차 왕자의 난이 끝이 나고 이방원은 둘째 형을 찾습니다. 쿠데타를 일으킨 명분은 장자 계승 원칙이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종 이방과를 세자로 옹립합니다. 이방과 입장에서는 자존심이 조금 상했을 것 같습니다. 본인은 한 게 아무것도 없는데 큰 아들이라고 세자가 되기는 싫었습니다. 그는 이방원에게 세자 자리를 떠밀었습니다. 하지만 이방원은 이를 거절했습니다. 그리고 이방과는 세자가 됩니다. 1차 왕자의 난이 끝나고 8일 후에 이성계가 한양을 떠납니다. 세자가 된 지 9일 후 이방과는 상황에 떠밀려서 고려 2대 왕 정종이 됩니다.
한양을 떠나 개경으로 환궁하다
정종 이방과는 왕이 되자마자 한양을 떠나고 싶었습니다. 한양에서 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났고 형제들끼리 치열하게 싸웠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당시 한양에 까마귀와 까치떼가 많았다고 합니다. 여러모로 분위기가 흉흉하고 안 좋기 때문에 정종은 개경으로 다시 한번 수도를 옮기게 됩니다. 1398년부터 1400년까지 2년의 재위 기간 동안 정치적으로 이방원과 큰 마찰도 없었습니다. 정종 이방과와 첫째 부인 정안왕후 사이에는 자식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이방원을 자신의 양자로 들여 세자로 임명합니다. 동생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그는 사냥을 다니거나 온천을 다니는 등 편안한 여생을 보냅니다. 사냥을 하면서 잡은 동물들을 매번 아버지 이성계에게 바쳤습니다. 정종 이방과는 효심이 매우 깊어 아버지를 끝까지 잘 모셨다고 합니다. 동생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편안하게 살다가 1419년 62세 나이로 작고합니다. 그는 아버지 이성계와 가장 닮은 면모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무인적인 기질이 다분하여 아버지와 함께 여러 전쟁에 참여했습니다. 그리고 조선 제2대 왕으로 2년간 재위합니다. 동생 태종 이방원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편안하게 살다가 떠났습니다. 오늘은 정종 이방과의 삶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대한민국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시성 전투와 고구려 양만춘 장군의 이야기 (0) | 2022.07.10 |
---|---|
수양대군 어린 조카를 내쫓고 왕이 되다 (0) | 2022.07.10 |
소헌왕후 조선시대 최고의 왕비 (0) | 2022.07.10 |
철종 강화도령 백성을 위한 왕이었다 (0) | 2022.07.09 |
영조와 사도세자 아들을 뒤주에 가둔 아버지 (0) | 2022.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