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양대군 어린 조카를 내쫓고 왕이 되다
수양대군은 1417년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그리고 훗날 조카 단종을 왕위에서 몰아내고 조선 제7대 왕 세조로 즉위합니다. 아버지 세종대왕과는 상반된 성격을 가졌으며 거침없고 남자다운 성향을 가진 인물입니다. 오늘은 어린 조카 단종을 내쫓고 왕이 된 수양대군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할아버지와 닮은 수양대군
조선을 건국한 사람은 태조 이성계입니다. 이성계는 조선 제1대 국왕으로 고려 말 우왕의 명령으로 요동을 정벌하기 위해 북쪽으로 떠납니다. 하지만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우왕을 내쫓고 정권을 찬탈하였습니다. 그리고 정도전과 함께 새로운 나라 조선을 건국합니다. 조선 제2대 왕은 태조의 둘째 아들 정종입니다. 1차 왕자의 난 이후에 동생 이방원에 도움을 받아 왕이 됩니다. 2년이 지나고 이방원에게 양위 후 상왕으로 물러납니다. 그다음 유명한 이방원이 조선 제3대 왕 태종이 됩니다. 그리고 태종 다음으로 셋째 아들이었던 충녕대군이 조선 제4대 국왕이 됩니다. 바로 세종대왕입니다. 세종대왕은 자신의 할아버지나 아버지의 기질을 물려받기보다는 문인의 기질을 보였습니다. 세종대왕에게는 여러 명의 자식이 있었는데 첫째 아들은 문종으로 아버지의 장점만을 물려받았습니다. 왕이 된 후 문종은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칩니다. 하지만 몸이 허약해 왕이 되고 약 2년이 지난 후에 병환으로 눈을 감습니다. 그리고 문종의 어린 아들 단종이 왕이 됩니다. 당시 단종의 나이는 12살이었습니다. 아버지 문종은 어린 아들 단종이 걱정되어 눈을 감기 전에 김종서, 황보인, 박팽년, 신숙주 등 신하들을 불러 모아서 유언을 남깁니다. 자신이 별세하면 어린 아들이 왕이 되는데 자신의 형제들이 두렵다고 이야기합니다. 특히 첫째 동생인 수양대군이 가장 두렵다고 했습니다. 수양대군은 어릴 때부터 야심이 있고 카리스마가 대단했다고 합니다. 자신의 아버지보다는 할아버지 태종 이방원과 더 닮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둘째 동생 안평대군도 걱정된다고 했습니다. 안평대군은 무술 쪽보다는 예술 쪽에 재능이 있었는데 안평대군 역시 야심이 있었다고 합니다. 동생들로부터 단종을 지켜달라고 유언을 남기고 문종은 숨을 거둡니다. 유언을 받들어 김종서와 황보인은 단종 대신 수렴청정을 하며 단종을 보필합니다. 하지만 수양대군은 이 상황이 마음에 들지 않았습니다.
1453년 계유정난을 일으키다
수양대군은 김종서와 황보인이 수렴청정을 하는 모습이 보기 싫었습니다. 그래서 당대 지략가로 유명했던 한명회 등 자신의 사람들을 불러 모읍니다. 수양대군의 곁에는 조선 전기 최고 지략가 한명회가 있었고 이들은 정변을 준비합니다. 그리고 1453년 10월 계유정난을 일으켜 김종서와 황보인 등 반대파들을 내쫓고 정권을 장악합니다. 이때 자신의 동생이었던 안평대군도 반대파들과 작당 모의를 했다는 누명을 씌웁니다. 역적이라는 죄를 씌워 멀리 유배를 보냅니다. 그리고 자신은 영의정이 되어 어린 조카 단종을 조종합니다. 어린 단종은 겁에 질려 자신의 숙부 수양대군에게 왕의 자리를 넘겨주게 됩니다. 그리하여 수양대군이 조선 제7대 왕 세조가 됩니다.
단종 복위 운동과 사육신
문종의 유언을 들었던 성삼문, 박팽년 등 6명의 집현전 학자들은 단종을 복위시키기 위해 준비합니다. 하지만 세조에게 걸려 목숨을 잃습니다. 이들을 사육신이라고 부릅니다. 사육신은 1456년 단종을 복위시키기 위해 준비하다 목숨을 잃은 사람들을 말합니다. 성삼문과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성원, 유응부 총 6명입니다. 이 사건으로 인해 단종은 상왕에서 노산군으로 강등됩니다. 그런데 수양대군의 동생이었던 금성대군이 몰래 또 단종 복위 운동을 준비하고 세조에게 걸리게 됩니다. 단종은 노산군에서 서인으로 강등됩니다. 세조는 어린 조카를 계속 살려두었다가는 자신이 위험하겠다고 생각하고 조카를 없애버립니다. 지금까지 어린 조카 단종을 몰아내고 왕이 된 수양대군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대한민국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헌종 잘 모르는 조선 후기 제24대 왕 (0) | 2022.07.11 |
---|---|
안시성 전투와 고구려 양만춘 장군의 이야기 (0) | 2022.07.10 |
정종 이방과 그는 누구인가 (0) | 2022.07.10 |
소헌왕후 조선시대 최고의 왕비 (0) | 2022.07.10 |
철종 강화도령 백성을 위한 왕이었다 (0) | 2022.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