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헌왕후 조선시대 최고의 왕비
조선시대 최고의 군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세종대왕이라고 말할 것입니다. 세종대왕이 군주였던 시기에는 세종의 아버지 태종 이방원이 세종의 왕권을 위협할 만한 세력을 모두 내쳤기 때문에 큰 걱정 없이 왕권을 강화하고 여러 가지 정책을 마음껏 펼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세종대왕의 부인 이름은 알지 못합니다. 바로 소헌왕후입니다. 나라와 백성을 진정으로 생각했던 조선시대 최고의 왕비 소헌왕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선왕조실록에 쓰인 소헌왕후
소헌왕후는 조선 제4대 임금 세종대왕의 부인이자 조선시대 최고의 중전마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소헌왕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먼저 태종 이방원이 살아있을 당시 훗날의 세종대왕이 되는 자신의 셋째 아들 충녕대군의 부인 셋째 며느리에 대해 이런 표현을 합니다. 성품이 매우 유순하고 언행이 훌륭해 질투하는 마음이 없다. 세종대왕의 자식은 아들 18명과 딸 7명으로 이중 10명이 소헌왕후와의 자식들입니다. 소헌왕후는 후궁들을 가까이하는 세종대왕에게 단 한 번도 질투하거나 미워한 적이 없다고 합니다. 착한 며느리라고 칭찬을 아끼지 않은 태종 이방원은 자신의 며느리 집안을 박살 내버립니다. 소헌왕후의 아버지 심온을 내치고 어머니와 형제들을 모두 노비로 만들어버립니다.
시아버지로 인해 비극을 맞은 며느리
소헌왕후 심씨는 심온의 딸로 할아버지는 조선 개국공신 심덕부입니다. 심온에게는 9명의 자식이 있었는데 소헌왕후는 장녀로 태종 이방원의 셋째 아들 충녕대군에게 시집을 갑니다. 하지만 훗날 세자였던 양녕대군이 쫓겨나고 충녕대군이 왕이 되면서 한 나라의 왕비가 됩니다. 당시 태종 이방원의 부인이자 소헌왕후 심씨의 시어머니였던 원경왕후는 여흥 민씨입니다. 여흥 민씨는 막강한 권력을 가지고 있는 권문세족이자 개국공신 가문이었습니다. 세력이 너무 컸기 때문에 외척이 두려웠던 태종이 민무구, 민무질, 민무회, 민무휼 원경왕후의 남동생들을 없애버립니다. 이로 인해 태종 이방원과 부인 원경왕후와의 사이가 매우 멀어지게 됩니다. 소헌왕후는 청송 심씨로 명문가 집안이었습니다. 충녕대군이 세자가 되고 두 달 후 왕으로 즉위하자 태종 이방원은 외척을 견제하기 위해 청송 심씨 일가를 박살 내버리고 맙니다. 아버지 심온은 숨을 거두고 어머니와 형제들은 모두 노비로 전락하게 됩니다.
조선 최고의 중전마마
세종대왕은 여색을 밝히는 편이어서 소헌왕후 외 10명의 첩과 사랑을 나누었습니다. 많은 부인들과 사랑을 나누면서 아들 18명, 딸 7명을 낳게 됩니다. 여기서 10명의 자식이 소헌왕후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이들입니다. 세종대왕이 여러 명의 후궁을 들여도 단 한 번도 질투한 적이 없다고 합니다. 조선시대 내명부의 수장으로 다른 후궁들의 행동거지를 꼼꼼하게 살펴봤다고 합니다. 잘했을 때는 칭찬을 해주고 못했을 경우에는 따끔하게 혼을 내기도 했다고 합니다. 후궁들과 두루두루 친하게 지내며 자신이 낳은 아들들의 교육을 후궁들이 담당하게 합니다. 조선 왕조 500년을 통틀어 봤을 때 내명부가 서로 사이좋게 잘 운영됐을 때가 유일하게 소헌왕후 때라고 합니다. 한 나라의 왕비로서 소임을 다하기 위해 자신의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어머니와 형제들이 노비가 되었지만 남편 세종대왕의 왕권 안정을 위해 책임을 다한 모습이 정말 인상 깊습니다. 본인의 뜻은 아니었지만 갑자기 왕비가 돼서 가족들이 고통을 받게 됐는데 슬픔은 접어두고 중전마마로서 역할을 해낸 것이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세종대왕 역시 소헌왕후를 굉장히 존중했다고 합니다. 나랏일을 하고 있는 도중에도 소헌왕후가 들어가고 나올 때마다 예를 갖춰 일어나서 맞이했다고 합니다.
어머니로서의 슬픔
소헌왕후는 아버지와 어머니, 동생들뿐만 아니라 자식들도 일찍 떠나보내며 아픔을 겪었습니다. 과거에는 의료시설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 많은 갓난아기들이 사망했었습니다. 하지만 소헌왕후는 다 큰 자식들을 3명이나 떠나보내야 했습니다. 첫째 딸 정소공주가 13살의 나이로 사망하고 7번째 자식 아들 광평대군이 20살에 사망합니다. 그리고 9번째 자식 아들 평원대군이 20살에 사망합니다. 세 명의 자식들을 먼저 떠나보내며 소헌왕후의 몸이 허약해집니다. 세종대왕은 소헌왕후를 살리기 위해 여기저기 불교행사를 진행하고 절에 가서 기도를 합니다. 하지만 하늘은 세종의 기도를 들어주지 않습니다. 결국 소헌왕후는 세종대왕의 곁을 떠나게 됩니다. 태평성대를 이룬 세종대왕의 부인이자 조선시대 최고의 왕비 소헌왕후 이야기였습니다.
'대한민국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양대군 어린 조카를 내쫓고 왕이 되다 (0) | 2022.07.10 |
---|---|
정종 이방과 그는 누구인가 (0) | 2022.07.10 |
철종 강화도령 백성을 위한 왕이었다 (0) | 2022.07.09 |
영조와 사도세자 아들을 뒤주에 가둔 아버지 (0) | 2022.07.09 |
1차 왕자의 난 비극적인 사건은 왜 일어났을까 (0) | 2022.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