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화성 정조 대왕의 위대한 역작
수원화성은 조선 22대 임금 정조 대왕이 아버지 사도세자를 추모하기 위해 지은 성입니다. 임금의 명령으로 정약용이 설계하여 1796년에 완공됩니다. 1997년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수원시를 대표하는 랜드마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정조 대왕의 역작이자 우리나라의 소중한 문화유산인 수원화성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북쪽으로 향해 있는 장안문
장안문은 수원화성의 정문입니다. 보통 궁궐의 정문은 남쪽을 향해 있습니다. 하지만 화성의 정문인 장안문은 특이하게도 북쪽을 향해 있습니다. 북쪽에 있는 장안문을 정문으로 삼은 이유는 바로 북쪽에 서울이 있기 때문입니다. 조선시대의 수도는 한양으로 현재 우리나라 수도인 서울을 말합니다. 북쪽에 위치한 장안문을 정문으로 삼은 이유는 한양에서 출발해 수원으로 오는 정조 대왕을 환영하기 위해서입니다. 왕이 성에 도착했을 때 처음으로 마주하는 문이기 때문에 장안문을 화성의 정문으로 삼았습니다. 서울 창덕궁에서 출발해서 수원에 도착하려면 당시 이틀이나 소요됐다고 합니다. 창덕궁에서 수원까지 거리가 꽤 되기 때문에 임금은 늘 2일 차 저녁에 수원에 도착했습니다. 정조 대왕은 수원을 조선의 신도시로 개발하기 위해 계획을 세웠습니다. 지리적으로 위치가 좋고 무엇보다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가 근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수원을 거점으로 삼아 왕권을 강화하고 민생을 안정시켜 개혁 정치를 펼치려고 했습니다.
황무지였던 땅에 성을 짓다
현재 수원화성이 위치한 곳은 황무지였다고 합니다. 허허벌판이다 보니 거주하는 백성들도 많지 않았습니다. 당시 6채의 가옥이 있었다고 합니다. 임금은 이곳을 신도시로 개발하기 위해 백성들을 이주시켜야겠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근처에서 살고 있는 백성들이 이곳에 와서 살 수 있도록 이주비용으로 10만냥을 지원합니다. 현재 돈으로 가치를 환산해 보면 약 70억의 돈입니다. 수원을 조선의 신도시로 개발하기 위해 많은 돈을 투자합니다. 이 밖에도 이곳으로 이주한 백성들은 10년 동안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는 혜택까지 제공합니다. 보상금도 많이 주고 세금 혜택까지 주는 파격적인 제안이었기에 근처에서 살고 있던 백성들은 이곳으로 이주합니다. 그만큼 정조 대왕은 신도시 개발에 진심이었습니다. 왕과 신하들은 철저하게 계획을 세워 성을 짓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마음이 급했던 임금은 정약용에게 공사 기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으라고 명령합니다. 당시 성이 완성되기까지 약 10년 정도 걸릴 것으로 추측했기 때문입니다. 10년을 기다리기 힘들었던 임금은 신하들에게 공사 기간을 줄이라고 명령합니다. 그 결과 2년 9개월 만에 수원화성이 완공됩니다. 10년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했던 공사가 2년 9개월 만에 끝낼 수 있었던 방법이 궁금하실 것 같습니다. 바로 기구의 도움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화성을 건축할 때 조선의 수많은 신식 기구들이 등장합니다. 대표적인 공사 기구는 거중기입니다.
정약용이 만든 신식 기구 거중기
2년 9개월만에 수원화성이 완공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수많은 신식 기구들 덕분입니다. 대표적인 기구가 정약용이 만든 거중기입니다. 거중기는 정약용이 수많은 연구를 통해 설계한 역작입니다. 이외에도 화성 축조를 위해 만들어진 유형거가 있습니다. 유형거는 손수레로 실용적으로 설계되어 크고 무거운 짐을 들 수 있습니다. 거중기는 도르래의 원리를 이용해서 힘을 최대한 적게 들이고 무거운 짐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설계된 기구입니다. 도르래의 원리를 완벽하게 적용하여 만들어진 혁명적인 기구입니다. 거중기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물리학의 지식을 배워야 한다고 합니다. 그만큼 수많은 연구를 통해 철저한 계획하에 만들어진 기구입니다. 작은 힘으로 무거운 물체를 들 수 있게 설계되어 수원화성 건설 당시 공사 기간을 줄이는데 큰 도움을 줬습니다. 수원에 놀러 가시면 꼭 한번 수원화성에 가보시기 바랍니다. 웅장한 성과 주변 풍경들이 잘 어우러져 있습니다. 오늘은 정조 대왕의 역작인 수원화성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대한민국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숙종 대왕이 가장 사랑한 동물 고양이 금묘 (0) | 2022.07.25 |
---|---|
정순왕후 조선시대 권력의 화신 (0) | 2022.07.24 |
광해군 잔혹한 행동을 하게 된 배경 (0) | 2022.07.22 |
효명세자 조선시대 비운의 왕세자 이야기 (0) | 2022.07.21 |
연산군과 장녹수 그들의 러브 스토리 (0) | 2022.07.20 |